
※ FAQ
[공모전 지원 관련]
Q. 각 부문별 지원대상 제한이 있나요?
A. 제5회 공모전은 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 개발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관계없이 누구든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Q. 주제는 공연에술분야로 한정되어 있나요?
A. 본 공모전은 공연예술 분야의 한계점을 발전시킬 수 있는 주제로 지원하여야 합니다.
Q. 이전 년도 수상자가 다른 아이디어로 참여해도 수상 가능성이 있나요?
A. 공모 참여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습니다. 따라서 공모작의 퀄리티가 우수할 경우 수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Q. 비전공자도 참여하기 괜찮은가요?
A. 본 공모전은 전공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부담이 되실 경우, 팀으로도 지원이 가능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Q.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출 후 수정이 가능한가요?
A. 네, 제출 시 입력한 신청자의 정보로 수정 및 접수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수정 과정 중 접수 마감 기한을 초과한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은 접수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Q. 추가 모집 계획이 있나요?
A. 추가 모집 예정은 없습니다.
[데이터 관련]
Q. 어떤 데이터들이 제공 되나요?
A. KOPIS Raw Data가 제공 됩니다. 컬럼명 및 필드명은 [공지사항] 내 공모요강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Q. 데이터는 어떤 방법으로 제공 되나요?
A. 보안서약서를 작성한 후 데이터가 담긴 1TB의 외장하드를 한팀 당 하나씩 제공해 드릴 예정입니다.
Q. 해외 공연 데이터도 제공이 되나요?
A. KOPIS는 공연법에 의거하여 국내 건만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서비스 개발 부문]
Q. 당장 상용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나요?
A. 상용화할 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를 개발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상용화할 수 있다는 것'은, 실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구현한 기능들이 구동 가능한 형태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서버 리스로 개발해도 무관함. 당장 배포 및 사용자 서비스로 즉각 이용 가능하다면 모두 OK!
Q. 서비스에 대한 BM 설계도 필요한가요?
A. 본 공모전은 창업 공모전이 아니기에 BM 설계 및 제출까진 필요하지 않습니다.
Q. 서비스 개발 후 출시하여도 되나요?
A. 네, 가능하며 출시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기타]
Q. 수상작을 확인할 수 있을까요?
A. 네, 공모요강 또는 홈페이지 내 [지난회 다시보기]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다만, 발표자료는 현재 사업을 하고 있는 사례가 있는 등의 이유로 세부 내용은 공개가 불가능합니다.
Q. 후속연구 개발 부문은 없어졌나요?
A. 네, 제 5회 KOPIS 빅데이터 공모전은 1) 빅데이터 분석 부문, 2) 서비스 개발 부문으로 나뉘어집니다.
Q. 공연예술데이터 포럼(KoDaF) 참석이 필수인가요?
A. 각 부문의 혁신상(1등)팀은 필히 참석하여 발표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12월로 계획 중이며, 자세한 사항은 추후 안내 예정입니다.
Q. 팀원 전원이 발표해야하나요?
A. 팀원 전원이 파트별 진행해도 되며, 대표자 혼자 발표해도 됩니다.
Q. 발표 심사에는 심사위원만 계시나요? 어떤 형태로 진행되나요?
A. 심사위원분들과 1차 선정팀 모두 현장 객석에 착석해 계십니다. 발표 과정도 함께 보시고 현장에서 심사 및 수상팀 선정, 시상식까지 진행됩니다.